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도구&도서

[원노트] 원노트 구성 요소를 알아봅시다(01. 전자 필기장)

by 시월십일 2022. 3. 6.

이번 시간에는 원노트의 전자필기장, 섹션 그룹, 섹션, 페이지를 하나씩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가장 기본적인 내용일 수 있고, 제일 처음 다루어야 했을 내용입니다. 

 

다들 아시는 내용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갔으나, 회사 동료 중 원노트를 아직 써보지 않은 분께서

원노트를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다, 전자필기장? 섹션? 페이지는 또 무엇? 이라는 질문을 하시는 것을 보고, 

해당 내용도 필요한 분들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에 차근 차근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마침, 원노트를 활용하여 방송대 컴퓨터과학과 수업 필기노트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든 참에

실제 저의 사례를 토대로 예시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 원노트 사용 환경은 Window OS를 기본으로 하며, OneNote(구 OneNote 2016)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Windows 10용 OneNote와는 다른 버전이므로, 꼭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두 버전의 차이점은 MS에서 잘 정리해두었습니다. (OneNote 버전 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원노트 세부 구성 요소 및 위계

 

먼저, 세부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원노트는 전자 필기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러 개를 만들어도 전혀 지장은 없으나, 관리를 위해 저는 각 주제 별로 묶어서 최대한 적은 개수의 전자 필기장을 생성하였습니다. (현재 3개) 

 

각 요소들의 특징과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전자필기장

원노트의 전자필기장은 원노트 구성 요소 중 가장 상위의 요소로 보시면 됩니다.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 새로운 전자필기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기본 설정으로, 별도의 저장 버튼을 클릭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작성된 내용을 저장하며, 동기화 합니다. 
물론 수동으로 바꿀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사용 환경이라면 가급적 기본 세팅 그대로 사용하시기를 권장 드립니다.

 

1) 전자 필기장 생성 방법

먼저 원노트를 켭니다. 위에서 말씀 드린 것처럼, 저는 OneNot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Windows 10용 OneNote 아님)

좌측 상단의 파일을 클릭합니다.

 

새로만들기 탭에 들어가면 바로 전자 필기장 이름을 입력하여 생성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OneDrive - 개인으로 만드셔야 동기화가 가능하여 소유한 모든 기기에서 동일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지를 물어보는 항목이 뜹니다.

저는 업무용 계정과 공유하기 위해서 초대 버튼을 누르고 이메일 주소를 입력 했는데요,

하나의 MS 계정으로 본인만 사용하실 경우에는 취소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축하합니다! 여러분은 아래와 같이 전자 필기장을 하나 만드셨습니다.

어렵지 않으셨죠? 아래 내용만 봐도 앞으로 어떻게 사용을 하면 될지 직감적으로 아실 겁니다. 

다만,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들을 소개하여, 최대한 빠르게 효율적으로 원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해드리겠습니다.

2) 전자 필기장 활용 방법

여러 개의 전자 필기장을 만들었을 때, 열린 전자 필기장 간에 자유롭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좌측 상단의 네모표시 된 아래 화살표를 클릭하면, 내가 보유한 전자 필기장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릭하면 빠르게 열고 이동할 수 있죠. 

만약, 좀 더 해당 기능을 자주 사용하신다면 고정 버튼을 클릭해보세요. 

다음 이미지처럼 왼쪽에 나의 전자 필기장과 섹션 그룹, 섹션들이 일목요연하게 목차 형식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원노트 가용 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에, 보통의 상황에서는 해당 내용을 최소화 하여, 원노트 사용 화면을 좀 더 크게 배치하는 편입니다.

 

마무리하며

생각보다 내용이 길어질 것 같아서, 다음 시간에 섹션 그룹, 섹션, 페이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나 궁금한 점이 있으시거나, 좀 더 다뤄줬으면 하는 내용이 있으시다면 댓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